공개 키 암호 (Public key encryption) 1. 공개 키 암호 - 공개 키 암호 = 비대칭 암호- 공개 키, 개인 키 각각 분리되있음 (대칭 암호는 공개 키, 개인 키가 동일함. 하나의 '비밀 키')- 암호화 키, 복호화 키 각각 분리되있음 (암호화, 복호화 키의 위치에 공개 키, 개인 키 중 어떤 것을 암호화에 넣느냐에 따라 복호화 할 키 값이 정해짐/ 4.에서 설명) - 공개 키는 누구나 알 수 있음 / 비밀 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음- 송신자는 [암호화 키] 를 써서 메시지를 암호화- 수신자는 [복호화 키] 를 써서 암호문을 복호화- 사전에 비밀 키를 모두 가지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통신 할 수 있음- 공격자에게 알려지면 곤란한 키는 [복호화 키] / [암호화 키..
블록체인을 처음 알고 무작정 공부를 시작했을때는 뜬구름만 잡고 있는 느낌을 많이받았다. 그래서 기본 배경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지금은 암호에 기술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려고 하는 것이다(너무 늦는다는 생각에 초조해 할 것 없다. 탄탄히 실력을 쌓으면 반드시 스노우 볼 효과가 있을 것이다.) 저번에 이어 암호에 대해 기재를 하고 있는데..어떻게해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주요 코인기술들이 암호의 3가지요소(무결성, 기밀성, 가용성) 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암호가 이렇구나 이런게 있구나 등의 배경은 알아야 할 것이다. 암호의 분류 방법 암호는 크게 3가지 형태로 나뉜다. ○ 대칭형 암호 : 암호화할 때 사용한 키 = 복호화할 때 사용한 키 (대칭형은 비공개키 암호에 사용) ○ 비대칭형 암호..
암호(Encryption)란, 허용되지 않는 접근으로부터 비밀을 보호하며, 접근권을 얻으려는 사람들에게 암호를 물어서 접근 여부를 결정하는 것 암호 용어 & 설명 ● 평문 (Plaintext)- 암호화하기 전의 메시지 (암호화될 메시지) ● 암호문 (Cipher text)- 암호화한 후의 메시지 ● 암호화 기술 (Encryption)- 중간에서 도청자가 암호문을 가로채어 갖게 된다고 하더라도 특정 비밀값을 모른다면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호화할 수 없도록 하는 기술 ● 복호화(해독) (Decoding)- 해독은 Decipher, Decode, Decryption. 암호학에서는 대부분 Decryption이라는 말을 사용한다- 정당한 수신자가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것 (변형과정을 되돌려 원본 메시지를 드러냄..
소프트웨어 ( 컴퓨터 속의 프로그램 ) 하드웨어 ( 컴퓨터 기계 ) - 컴퓨터를 작동하게 만드는 논리적 바탕 제공 - 컴퓨터 자체를 의미하는 하드웨어에 대응하는 개념 -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이에 따르는 기술 - 하드웨어가 몸이라면 소프트웨어는 그걸 활용하는 두뇌에 해당 - 전자 회로와 그 밖의 물리적인 장치들로 이루어 - 컴퓨터 시스템의 물리적인 기반 제공 - 사람의 몸 전체에 해당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사용된다.여기서 말하는 프로그램이란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.여기서 말하는 '명령어(instruction)'란 논리적 표현을 컴퓨터 언어로 표현한 것을 의미한다. ● 전공 분야와 소프트웨어와의 융합 일상 생활에 접하는 모든 일들은 컴퓨터의 발..
1. 컴퓨터 보안 개념 ● 컴퓨터 보안정보 시스템내의 자원 (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펌웨어, 정보/데이터, 통신) 들의 무결성, 가용성, 기밀성을 보존하기 위해 제공되는 보호 ● 정보 보호- 정보의 수집, 가공, 저장, 검색, 송신, 수신 중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훼손, 변조, 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적, 기술적 수단을 마련하는 것- 정보 시스템 상 교환에 따른 기밀성, 무결성, 가용성의 실패로 인한 피해로부터 보호하는 것 정보보호의 3대 목표 (보안의 3대 요소) 1) 기밀성 (Confidentiality)- 정보에 대한 접근이 적절히 제한 되어있는가- 공개, 노출 2) 무결성 (Integrity)- 정보가 믿을 수 있고 신뢰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- 데이터 무결성- 소유자 무결성- 변조, 파괴 ..